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정보

높은 CPM VS 낮은 CPM - 메타광고성과분석을 위한 기초 2탄

by GrowTim 2025. 4. 17.

 

5년동안 다양한 산업군의 광고계정을 담당하면서 CPM을

정확히 모르는 분들이 많다는 부분에 놀랐습니다.

그래서 지난번에 이어 이번에는 CPM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려고 합니다.

 

  • CPM = Cost Per Mille (Mille은 1,000을 의미)
  • CPM은 광고가 1,000회 노출하는데 드는 비용
  • CPM=(광고비용/노출수) X 1000

 

전단지를 10,000명에게 보여주는데 5,000원이 들었다면 CPM은 500원이 되는겁니다.

 

TIM's 포인트1

CPM이 높을수록 동일한 예산으로 더 적은 사람들에게 광고노출이 됩니다.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치열한 광고경매상황
  2. 좁은 타겟
  3. 매력적이지 못한 광고크리에이티브

 

TIM's 포인트2

동일한 광고를 운영한다고 하더라도 광고경매경쟁이 치열한 시기(블랙프라이데이, 크리스마스 등)에는 CPM이 높아질테니 치열한 시기를 살짝 피해서 광고하는게 CPM관리에 도움됩니다

 

블랙프라이데이가 포함되어있는 주에 광고하기보다는 1주일 전이나 1주일 후에 광고하는게 더 좋을 수 있습니다.

 

TIM's 포인트3

타겟의 위치, 연령, 성별을 변경할 수 없다면 관심사를 사용하지 않거나 노출위치를 조금 더 넓게 설정해서 진행하는게 CPM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관심사를 추가하게 되면 타겟이 더 정교해질 수 있지만 그만큼 광고를 볼 전체 사람수도 줄어들기때문에 CPM이 너무 높은게 문제일 경우에는 관심사 없이 진행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TIM's 포인트4

CPM이 낮을수록 동일한 예산으로 더 많은 사람들에게 광고노출이 됩니다.
기대효과로는 광고효율이 더 좋아질 수 있습니다.

 

물론 더 많은 사람들에게 광고노출을 한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결과가 따라오는건 아니지만 확률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광고효율 좋아질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겠죠.

 

TIM's 포인트5

기본적으로 CPM이 저렴한 광고로는 도달, 브랜드인지도가 있으며
CPM이 높은 광고로는 리드생성, 판매(전환)가 있습니다.

 

캠페인별로 CPM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1만원의 광고예산을 사용해서 도달광고를 진행하면 50,000명에게 노출된다고 가정했을때 동일한 1만원의 광고예산으로 판매광고를 진행하면 5,000명에게만 노출이 됩니다

(수치들은 예시로 든 것이지, 실제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판매캠페인의 광고예산이 타 캠페인들에 비해 기본적으로 높은 이유입니다.  

 

댓글